1 |
국가교육위원회 출범 |
 |
2 |
교육시설안전 인증 대상 학교 확대 추진 |
 |
3 |
환경위생 및 식품위생에 대한 점검 및 조치 규정 강화 |
 |
4 |
교육환경보호구역 내 금지시설 당구장, 만화대여업 제외 |
 |
5 |
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을 위한 학교환경교육 강화 |
 |
6 |
「디지털 기반의 원격교육 활성화 기본법」 시행 |
 |
7 |
학습자 중심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(K-MOOC) 운영 |
 |
8 |
핵심 학술 DB 지원 확대 |
 |
9 |
기초학력 보장법 제정 |
 |
10 |
대학원생 취업 후 상환 학자금대출 지원 |
 |
11 |
임원에 대한 결격기간 연장 등 사립학교의 공공성 강화 |
 |
12 |
초·중등 사립학교 학교운영위원회 심의기구화 |
 |
13 |
대학생이 초·중등 학생의 학습·상담 등 지원 |
 |
14 |
교육급여 보장수준 강화 |
 |
15 |
국가장학금 지원 확대 |
 |
16 |
사학기관 종사자의 청렴의무 규정과 행동강령 마련 |
 |
17 |
초·중등 사립학교 교원 신규채용 시, 필기시험 교육감 위탁 실시 |
 |
18 |
초·중등 사립학교 사무직원 채용 시, 공개전형으로 실시 |
 |
19 |
학자금 대출과 금융권 대출로 이중고통을 겪는 청년 다중채무자의 재기 기반 마련을 위한 ‘통합 채무조정’ 시행 |
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