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농업인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확대 |
 |
2 |
기초생활보장 급여 확대 및 재산기준 완화 |
 |
3 |
긴급복지지원 생계지원금 단가 인상 |
 |
4 |
장애수당 단가 인상 |
 |
5 |
65세 미만 노인성 질환 장애인의 활동지원 급여 신청 허용 |
 |
6 |
자립준비청년(보호종료아동) 지원 강화 |
 |
7 |
부모급여 도입 |
 |
8 |
재난적의료비 지원 기준 완화 및 대상 확대 |
 |
9 |
자살 고위험군 지원 확대 및 인프라 강화 |
 |
10 |
정신의료기관 환경개선 사업 추진 |
 |
11 |
지역 의료-돌봄 연계체계 강화 시범사업 실시 |
 |
12 |
사회서비스 혁신 기반 조성 |
 |
13 |
발달장애인과 장애아동 돌봄서비스 확대 |
 |
14 |
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 및 종사자 확대 |
 |
15 |
사회서비스형·민간형 노인일자리 확대 실시 |
 |
16 |
휴・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 보관・발급시스템 도입 |
 |
17 |
암생존자 중심의 맞춤형 헬스케어 연구개발사업 실시 |
 |
18 |
민관협력 자살예방 사업 확대 |
 |
19 |
감염병 팬데믹 대응을 위한 비대면 진료기술 개발 |
 |
20 |
신·변종 감염병 대유행 대비 항바이러스 치료제 개발 사업 추진 |
 |
21 |
세포 기반 인공혈액 제조 및 실증 플랫폼 기술 개발 사업(R&D) 지원 |
 |
22 |
이종장기 연구개발사업(R&D) 지원 |
 |
23 |
「청년도전지원사업」 프로그램 다양화 및 지원수준 확대 |
 |
24 |
K-Digital Training,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까지 훈련분야 확대 |
 |
25 |
플랫폼 종사자 특화훈련 시행 |
 |
26 |
기업·구직자 도약보장패키지 사업 확대 |
 |
27 |
국민취업지원제도 수당 확대 |
 |
28 |
사회보험사각지대해소 사업 지원 대상 확대 |
 |
29 |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기간 연장·지원수준 확대 |
 |
30 |
기업 자체훈련 탄력운영제 도입 |
 |
31 |
패키지 구독형 원격훈련 도입 |
 |
32 |
기업직업훈련카드제 도입 |
 |
33 |
능력개발전담주치의 도입 |
 |
34 |
최저임금액 인상 |
 |
35 |
플랫폼종사자 일터개선 지원사업 자치단체로 대상 확대 |
 |
36 |
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내용 개편 |
 |
37 |
건설업 안전관리자 선임 공사 규모 확대 |
 |
38 |
굴착기 안전기준 신설 |
 |
39 |
OEM 제조자 MSDS 제출·비공개심사 허용 |
 |
40 |
『생식독성물질』 8종 관리대상 유해물질로 추가 지정 |
 |
41 |
선원 노동권・인권 교육 의무화 |
 |
42 |
소비기한 표시제 본격 시행 |
 |
43 |
새벽배송 농산물 신속검사 체계 운영 |
 |
44 |
식품첨가물 대상 자동 수입신고수리 시행 |
 |
45 |
‘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’ 본격 운영 |
 |
46 |
희소·긴급도입 필요 의료기기 거점보관소 운영 |
 |
47 |
소아청소년 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대상 확대 |
 |
48 |
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 지정 확대 |
 |
49 |
돌봄시설 종사자 대상 잠복결핵감염 검진 지원 |
 |
50 |
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백신, 국가예방접종으로 지원 |
 |